HTTP 통신 등장
▼
HTML 등장
▼
웹의 발전과 동시에 클라이언트에서의 요구사항이 늘어남.
위와 같은 배경에서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을
보다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
탄생한 것이 Servlet이다.
과거의 웹은 기능을 구현하는데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Back End가 아닌
Front End 측에서의 요구가 늘어남.
(디자인을 중요시하게 됨.)
Front End 개발자는 아무래도
프로그래밍 언어적으로 Back End 개발자보다
뒤처진 부분이 있었기 때문에,
Front End 개발자와 Back End 개발자간의
충돌을 완화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JSP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JSP에서 스크립트릿을 이용한 JAVA 구문이 많아지자,
데이터의 처리 과정은 숨기고
결과인 Parameter만 넘겨주는
MVC모델이라는 것이 등장하게 되었다.
Model1과 2의 비교
Model1(MVC가 아님) |
Model2(MVC) |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냄 Member.jsp로 바로 접근하여 DB에 접근해 파라미터를 받아와 출력 |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냄 /member를 거쳐서 Member.JAVA로 접근 -> DAO에 요청 MemberDAO.JAVA에 접근하여 DB로부터 파라미터를 받아온 뒤 Member.jsp에 출력만 한다 |
BackEnd 개발자, FrontEnd 개발자, DBA가 한 개의 페이지를 가지고 동시에 작업해야하는 불편함. |
분업화 |
'JSP > 기본다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4일차 필기 (간단한 Login 양식) (0) | 2016.10.21 |
---|---|
JSP 4일차 필기 (전역변수, 메소드) (0) | 2016.10.21 |
JSP 3일차 필기 (jsp 데이터타입, 임포트) (0) | 2016.10.20 |
JSP 3일차 필기 (서블릿의 생명주기) (0) | 2016.10.20 |
JSP 3일차 필기 (간단한 회원가입 양식) (0) | 2016.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