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장] 정규화 (Normalization) 1. 정규화의 개념 ・정규화는 종속적인 관계를 무손실 분해하는 과정이다.・정규화의 목적은 중복을 제거하여 삽입, 삭제, 갱신 이상의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다. 2. 정규화 과정 ・제 1 정규형 ( 1NF ) 모든 속성의 도메인이 원자값으로만 되어있는 정규형 ・제 2 정규형 ( 2NF )부분 함수적 종속을 제거한 정규형 ( 완전 함수적 종속 ) ・제 3 정규형 ( 3NF )이행 함수적 종속을 제거한 정규형 ・BCNF 정규형모든 결정자가 후보키인 정규형 ・제 4 정규형 ( 4NF )다치 종속을 제거한 정규형 ・제 5 정규형 ( 5NF )조인 종속이 후보키를 통해서만 성립되는 정규형 ・역정규화 (Denormalization)조인 ↑ 응답속도 ↓ 성능↓ 상태가 되면, 다시 정규화 과정을 되돌려 성능을 향상시.. 더보기 [13장] 함수적 종속 1. 함수적 종속(Functional Dependency)의 개념 ・Y는 X에 함수적 종속 또는 X가 Y를 함수적으로 결정한다고 하면, X→Y로 표기한다.・이 때, X를 결정자(Determinant)라 하고 Y를 종속자(Dependent)라고 한다.・함수적 종속적 = 의존적 더보기 [12장] 이상 (Anomaly) 1. 이상의 개념 ・이상(Anomaly)이란 테이블에서 일부 속성들의 종속으로 인해 데이터 중복이 발생하고, 이 중복(Redundancy)으로 인해 테이블 조작 시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2. 이상의 종류 ― 삽입 이상(Insertion Anomaly)― 삭제 이상(Deletion Anomaly)― 갱신 이상(Update Anomaly) 3. 삽입 이상 ・원하지 않은 값들로 인해 삽입할 수 없게 되는 현상. 4. 삭제 이상 ・삭제 시 의도와는 상관없는 값들도 함께 삭제되는 현상. 5. 갱신 이상 ・갱신 시 일부의 정보만 갱신되어 정보에 불일치성(Inconsistency)이 생기는 현상 더보기 [11장] 트랜잭션 (Transaction) 1. 트랙잭션(Transaction)의 정의 ・DB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COMMIT(정상종료), ROLLBACK(철회) 2. 트랜잭션의 특성 ・트랜잭션은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원자성(Atomicity)ー 트랜잭션의 연산은 모두 반영되든지 아니면 전혀 반영되어서는 안된다.・일관성(Consistency)ー 트랜잭션 수행이 완료되면 언제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독립성(Isolation)ー 한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갱신하는 동안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해서는 안된다.ー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수행되더라도, 그 결과는 순차적으로 실행된 것과 같아야 한다.・영속성(Durablity)ー 트랜잭션이 완료된 후에는 어떤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내용이 계속 보존.. 더보기 [10장] 인덱스 (Index) 1. 인덱스의 개념 ・튜플에 빨리 접근하기 위한 쌍・인덱스가 없으면 모든 데이터를 다 뒤지는 TABLE SCAN이 발생. 2. m-원 검색 트리(m-Way Search Tree) ・한 노드가 1개의 키 값과 2개의 서브 노드를 갖는 이진 검색 트리를 일반화 한 트리.・한 노드가 최대 m-1개의 키 값과 최대 m개의 서브 노드를 갖는다.・이진 검색 트리보다 분기율이 향상되어 트리 깊이가 낮아져 특정 노드에 대한 검색 시간이 감소한다.・키의 삽입, 삭제 시 트리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복잡한 연산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음. 3. B-트리 ・인덱스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균형된 m-원 검색 트리이다.・키 값과 레코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들이 트리 노드에 오름차순으로 저장된다.・키의 삽입과 삭제.. 더보기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