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역수동형을
어렵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신 것 같아서
간단한 정리를 올려봅니다.
사역수동형
사역형을 다시 수동형으로 바꾸는
동사의 활용을 나타내는 말인데..
우리나라 말에는 존재하지 않는 문법이라
많이 헷갈려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 문법은
아래와 같은 2가지 경우에 사용합니다.
① 억지로 시켜서 할 때
② (감정 등의) 자발(自発)
일단 첫번째
억지로 시켜서 할 때
의 경우를 살펴보면..
아래의 두 단어를
마음속으로 '해석'해 보시길 바랍니다.
飲む
飲ませられる
飲む(마시다)의 원형과 사역수동형인데요.
바로 해석이 되셨나요?
아니면 헷갈리셨나요?
사실 두 단어 모두 '마시다'로 해석이 동일합니다.
무슨 소리냐구요?
사실 학교나 학원 등에서 이 문법을
배워보신 분이라면..
'~시킴을 당하다'
라고 배우신 분이 꽤 계실 것입니다.
가만히 생각해 보시면 뭔가 이상한 걸 느끼시겠지만,
한국어 문법엔 이런 말이 없습니다.
그냥 일본어를 대놓고 직역한 틀린 해석이라는 뜻입니다.
飲む
라고 하면 그냥 '마시다.'이지만,
飲ませられる
라고 하면 '(억지로) 마시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마시기 싫었는데..)
부장님이 자꾸 술을 권하셔서 어쩔 수 없이 마셨지."
라고 말할 때 飲ませられた라고
사역수동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해석은 원형과 동일하지만,
'(억지로 시켜서) ~하다.'
라는 느낌을 표현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문법입니다.
비슷한 문법으로
ざるを得ない 문법이 있습니다만,
다음 포스팅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그 다음 두번째.
자발(自発)입니다.
자발이 무슨 뜻인지 모르시는 분도
많이 계실 것이라 생각되므로..
국어사전에 실린 뜻을 먼저 살펴보면
2가지 뜻이 있는데
사역수동형을 사용하는 경우는
2번째 뜻인 '자동적으로 발사되거나 발동함'
의 경우입니다.
여기에 맞게
조금 풀어서 설명한다면
'(무언가의 자극에 의해서)
생각이나 마음, 느낌 등이 자연스레 발생하다.'
라는 의미인데요.
간단한 예문으로 살펴보면
その映画は感動させられます。
마음속으로 해석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분명히 ①번 뜻에서 본
'(억지로 시켜서)'의 의미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 영화는 감동 시킴을 당한다..'
이게 무슨 소리지..
'그 영화는 감동적입니다.'
정도가 가장 적절한 해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 영화를 보고 '감동적이다.'라는 감정이
자연스레 발생했다.
라고 표현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어떻게 하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까
고민을 하면서 글을 써 보았는데
잘 이해가 되셨을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저도 처음에 사역수동형을 배울 때
'시킴을 당하다.'라고 배웠는데요..
번역을 할 때 이렇게 해석을 하면
너무나도 어색한 한국어가 되는 것을 느껴서
다시 공부를 한 부분입니다.
일본에는 있고
우리말에는 없는 문법의 경우에는
무턱대고 우리말로 옮겨서 공부하기 보다는
'느낌'과 '상황'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우리말로 공부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일본어 > 헷갈리기 쉬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度に、につけ의 차이 (0) | 2016.10.16 |
---|---|
何気なく、さり気なく의 차이 (0) | 2016.10.15 |
にしては、としては、わりには의 차이 (0) | 2016.09.17 |
일본어의 존경표현 겸양표현 (0) | 2016.09.16 |
일본어 달력 읽는 방법 (0) | 2016.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