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용어] 올조인 사물 인터넷 (AllJoyn IoT) 연합 단체인 올신 얼라이언스(Allseen Alliance)에서 표준화한 오픈소스 기반의 IoT 플랫폼. 올조인은 로컬 영역에서 올조인 기기 간 피투피(P2P : Peer-to-Peer) 통신을 지원하는 IoT 플랫폼이다. 리눅스(Linux),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windows) 등 다양한 운영 체제와 와이파이 같은 무선 접속 기술을 지원하여 사실상 특정 하드웨어에 의존하지 않는 IoT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다. 즉, 각기 다른 제조사에서 만들어진 조명, 스마트워치(smartwatch), 냉장고, 에어컨, 도어록,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올조인 기반 IoT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다. 기존 댁내 제어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댁내 올조인 기기를 제얼할 수 있는 기술들도 제..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유에스비-스카시 프로토콜 (UAS, USAP) 유에스비(USB) 3.0 표준 규격에 스카시(SCSI)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데이터 이동 속도가 개선된 컴퓨터 프로토콜. USB 3.0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 빠르고 안정되어 외부 저장 장치에 최적화된 작업 환경을 구현한다. 특히 SSD와 같은 메모리 장치 사용 시 속도가 크게 향상된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윈도우 8(Windows 8)이나 애플(Apple) 맥(Mac) OS X 10.8, 리눅스(Linux) 커널에서 지원된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막대형 컴퓨터 (PC-on-a-stick) USB 메모리 장치 같이 생긴 작은 막대형 컴퓨터.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포트가 지원되는 모니터만 있으면 막대형 컴퓨터(스틱 컴퓨터)를 바로 연결하여 인터넷, 동영상 재생, 문서 작성 등 간단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막대형 컴퓨터는 크기는 작지만 컴퓨터의 주요 구성 요소인 프로세서, 램(RAM), 저장 장치(storage), 와이파이(Wi-Fi) 등이 제공되고, 운영 체제도 설치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USB 포트에 전원을 견졀하여 사용한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누름힘 접촉 (force touch) 터치스크린에 손가락으로 누르는 힘의 강도를 인식하여 다르게 동작하는 촉각 센서 기술. 터치 위치뿐만 아니라 터치의 강도를 감지하는 누름힘(force) 센서를 더하여 사용자에게 빠르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림판에서 선을 그릴 때 약하게 누르면 가는 선, 강하게 누르면 굵은 선이 나온다. 누름힘 접촉(포스 터치)는 애플(Apple)사의 애플워치, 맥북 등에 적용되었으며, 아이폰 6s에는 3가지 압력을 구분하는 포스 터치(3D 터치) 기술이 적용되었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평면 디자인 (flat design) 이차원 그래픽스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삼차원(3D) 공간으로 표현하지 않고, 단순히 레이아웃, 대비 등 기본적인 요소로만 디자인한다. 대표적인 예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윈도우 8(Windows 8)과 애플(Apple)사의 iOS7을 들 수 있다. 반면, 애플사의 iOS6 UI와 같이 삼차원적으로 현실의 사물 형태를 따라하는 디자인을 스큐어모피즘(skeuomorphism)이라 한다. 플랫 디자인이 채용된 iOS7 UI는 iOS6 UI의 스큐어모피즘에 비해 아이콘이 단순하고 화면 구성이 명료하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