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용어] 경험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xAPI) Experienc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xAPI동의어 : Tin Can API 스마트폰, 증강 현실, 게임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전자 학습(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 경험 데이터를 정의하고 서로 다른 학습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표준. xAPI는 미국 전자 학습 표준 연구 개발 기관인 ADL(Advanced Distributed Learning)에서 제정한 스콤(SCORM) 표준의 후속이다. 스콤은 SCORM 표준을 적용한 시스템과 콘텐츠일 경우에만 호환이 되었으나, xAPI는 xAPI표준이 적용되지 않은 학습 관리 시스템(LMS)과 학습 도구 등과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 다양한 학습 활동 데이터(학..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전자 문서 중앙 관리 시스템 Electronic Document Central Management System : 문서 중앙화 솔루션 사내 구성원이 개인용 컴퓨터(PC)나 모바일 기기에서 작업한 전자 문서를 개인용 기기가 아닌 중앙 서버에만 저장하도록 하여 개인용 기기의 고장이나 분실에 따른 문서 유실을 방지하고, 내부 구성원이나 외부 공격자에 의한 불법 유출 방지를 지원하는 시스템. 전자 문서를 비롯하여 조직에서 생산/관리되는 모든 콘텐츠를 조직 내 관리 서버에만 보관하여 관리하는 기업 콘텐츠 관리 (ECM : Enterprise Content Management) 시스템의 일종으로, 기존의 전자 문서 관리 시스템(EDMS :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과 비교된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비대면 본인 인증 (non-face-to-face identification) 고객이 금융 계좌 개설 또는 모바일 지급결제 시, 금융회사가 고객과 계좌의 명의인이 일치하는지 대면으로 확인하지 않고 본인임을 확인하는 방법. 비대면 인증 방법은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비밀번호/서명 이미지 등 지식 기반 인증 방법, SMS/이메일 등 소지 기반 인증 방법, 지문/얼굴/홍채/정맥 등 바이오인식 기반 인증 방법, 위치/접근 기록 등 질의 응답 방식의 특징 기반 인증 방법 등이 비대면 인증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미국과 영국, 일본, 호주 등은 계좌 개설 시 금융회사가 고객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자금세탁/테러 방지 관련 법령'에서 규정한다. 그렇기 때문에 계좌를 개설할 때 꼭 대면으로 고객을 확인하지 않고도 비대면으로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블록체인 (Blockchain) 온라인 금융 거래 정보를 블록으로 연결하여 피투피(P2P) 네트워크 분산 환경에서 중앙 관리 서버가 아닌 참여자(피어, peer)들의 개인 디지털 장비에 분산/저장시켜 공동으로 관리하는 방식. 블록체인의 기본 구조는 블록(block)을 잇따라 연결한(chain) 모음의 영해티며 피투피(P2P)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일정 시간 동안 반수 이상의 사용자가 거래 내역을 서로 교환해 확인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거쳐, 디지털 서명으로 동의한 금융 거래 내역만 하나의 블록으로 만든다. 그리고 새로 만들어진 블록을 이전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그 사본을 만들어 각 사용자 컴퓨터에 분산시켜 저장한다. 따라서 기존 은행처럼 거래 장부용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필요가 없어 관리 비용이 절감되며, 분산 처리로 해킹이 어려워 금융..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차량 긴급구난체계 서비스(e-call Service) emergency road call service 차량 사고 시 신속한 구난을 위한 서비스. 차량 긴급 구난 체계 서비스는 차량 운행 중 차량 충돌 및 심각한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긴급 구조 기관에 사고 위치와 사고 정보등을 전송하고 긴급 구난을 요청하거나, 차량 운행 중 위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탑승자가 수동으로 긴급 구난을 요청하여 운전자와 동승자를 빠르게 구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차량 긴급구난체계 서비스를 위해 차량에는 사고 발생 시 사고 판단을 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GPS 위치와 사고 시간 수집, 구조 기관에 자동으로 이동 전화 연결 등의 기능이 지원되어야 한다. 그리고 구조 기관은 관제 센터간과 의료기관, 경찰서 등 2차 이용 기관과의 네트어크 운용 기술이 구축되어 있어야 한.. 더보기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