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용어] 텐서플로(TensorFlow) 구글(Google)사에서 개발한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엔진. 검색, 음성 인식, 번역 등의 구글 앱에 사용되는 기계 학습용 엔진으로, 2015년에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로 전환되었다. 텐서플로는 C++언어로 작성되었고, 파이선(Python)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제공한다. 텐서플로는 빠르고 유연하여 한 대의 스마트폰에서도 운영될 수 있고, 데이터센터의 수 천 대 컴퓨터에서도 동작될 수 있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스위프트(Swift) 프로그래밍 언어 애플(Apple inc.)사에서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용 앱 개발을 위해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 스위프트는 기존 사용하던 오브젝티브-씨(Objective-C) 보다 쉽고 빠른 프로그램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2015년 오픈 소스(open-source)로 전환되어, 애플 운영 체제(iOS)뿐만 아니라, 리눅스(Linux)와 안드로이드(Android), 윈도우(Windows) 운영 체제에서도 스위프트를 이용할 수 있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공개 소스 하드웨어(OSHW) 설계(design) 내용과 관련 정보가 공개되어, 누구나 동일하게 만들고, 수정, 배포, 제조하여 팔 수 있는 하드웨어. OSHW는 자유・공개 소스 소프트웨어(FOSS)와 같이 소스 공개를 통해 기술과 제품을 더욱 발전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 제작에 필요한 되로도, 인쇄 회로 기판(PCB) 설계도면, 제작 과정 등 필요한 모든 정보의 공개를 원칙으로 한다. OSHW는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부품, 재료, 표준 가공 방법, 개방 시설, 공개 콘텐츠, 공개 소프트웨어(OSS) 등을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OSHW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를 설계한 문서 공개, 공개 범위 명시, 필요한 소프트웨어 공개, 저작권 표시 여부, 특정 개인이나 단체 차별 금지, 활용 분야 차별 금지 등을 준..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OSS) Open Source Software (OSS) 소스 코드가 공개된 소프트웨어로 개작이나 재배포등이 자유롭게 허용되면서 저작권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제도화된 소프트웨어. 비영리 단체인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 : Open Source Initiative) 의 에릭 레이몬드(Eric Raymond)가 상업적 활동을 증대시키려는 목적으로 소스코드의 공개를 강조하여 자유 이용 소프트웨어(free software) 대신에 사용한 용어다.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는 실행 파일만 제공되므로 타인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개선이나 개작이 불가능하여 소프트웨어의 개선에 한계가 있다. 반면에 아무 제약 없이 소스 코드까지 공개한다면 그 소스를 이용한 상품은 범람하여도 본래의 의도인 소프트웨어의 발전은 기대할 수 없다...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자유・공개 소프트웨어 (FOSS) Free and Open-Source Software : FOSS 소스 코드가 공개되며,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FOSS는 자유 이용 소프트웨어(Free Software)이며,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OSS: Open Source Sofrware)다. 자유 이용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의 공유와 협업을 중시하고 이타주의 정신을 강조하는 반면에, 공개 소프트웨어 (OSS)는 산업계의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의 확산과 보급에 중점을 두고있다. 따라서 자유 이용 소프트웨어 진영에서는 일반 공공 라이선스(GPL : General Public License)와 같이 소스 코드의 반환을 요구하는 라이선스를 선호하고 있지만, 공개 소스 소프트웨어 영역에서는 어차피 공공 라이선스(APL : Apache P..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