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용어] 공용 소프트웨어(PDS) Public Domain Software 저작권이나 기타 재산권을 소유자가 포기(relinquishment)하거나 일반 대중에게 기증(donation)하여 누구든지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게 공개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소유권이 없기 때문에 누구든 자유롭게 사용하고 변경하고 배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업적 목적으로 판매도 가능하다. 공용 소프트웨어(PDS)는 저작권 보호 대상에 해당되지 않아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배포할 수 있다. 그러나 소스코드 공개가 필수 조건은 아니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자유 이용 소프트웨어(free software) 누구든지 자유로이 사용, 복사, 수정 및 재배포 등을 할 수 있도록 소스 코드와 함께 배포되는 소프트웨어. 자유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의 자유로운 개발과 공유를 촉진할 목적으로 프리 소프트웨어 재단(FSF : Free Software Foundation)이 주창한 개념이다. 자유 소프트웨어는 저작권에 관계없이 누구나 차별없이 자유롭게 사용, 수정, 복사, 재배포등을 할 수 있다. 단, 자유 소프트 웨어를 수정하여 재배포하는 경우에는 수정된 모든 내용을 분명하게 표시해야 하고, 원저작자의 성명과 저작권 공고(copyright notice)를 삭제하거나 변경해서는 안된다. 여기서의 자유(free)는 무료의 의미가 아닌 사용자의 자유(Iibre)를 의미한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지능형 가상 비서(IPA) 개인 비서처럼 사용자가 요구하는 작업을 처리하고, 사용자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 인공지능(AI) 엔진과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일정 관리, 이메일 전송, 식당 예약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애플(Apple)사의 시리(siri), 구글의 구글나우(Google Now),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타나(cortana), 삼성의 S보이스 등이 있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얼랭(Erlang) 프로그래밍 언어 대규모의 확장이 가능한 실시간 병행I(real-time concurrent)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 시스템 운영 중에도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는 핫스왑 기능이 지원된다. 얼랭(Erlang)은 에릭슨(Ericsson)사에서 전화교환기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1998년에 아파치(Apache) 라이선스를 갖는 오픈 소스(open-source)로 공개되었다. 얼랭은 은행, 게임, 전자상거래, 모바일 메신저 등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 시스템 구축에 사용된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SNG (Satellite News Gathering) 야외에서 획득한 취재물을 위성을 통해 전송하는 방식. 야외에서 취재한 영상물을 스튜디오로 전송하는 방식에는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유선 방식과 위성이나 마이크로웨이브, 그리고 이동통신을 하는 무선 방식이 있다. SNG는 위성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전송 시스템을 주로 소형 차량에 탑재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기 때문에 이동 위성 지구국(earth station)이라고도 부른다. SNG 방식은 중계차보다 전송로 구성이 간편하고 산악, 도서 지역 등에서 기동성이 높아 뉴스 취재용으로 많이 활용 된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