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용어] 소물 인터넷 (IoST) Internet of Small Things, IoST 저속, 저전력, 저성능의 특징을 갖는 사물들로 구성된 사물 인터넷. 사물 인터넷(IoT)을 구성하는 사물들 중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은 사물들과 그렇지 않은 사물들이 있다. 이 중에서 교환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지 않은 사물들을 소물(small thing)이라 하며, 소물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소물 인터넷이라 한다. 대표적인 소물로 월 1~2회 정도로 제한하혀 데이터를 교환하는 수도/전기/가스 원격 검침용 기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물 정보를 소비자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비컨 등이 있다. 소물들은 교환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저성능 프로세서를 이용하며, 배터리 하나로..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 (Cloud-RAN) 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기존 기지국의 디지털 장치(DU : Digital Unit)와 RF 장치를 분리하여 여러 기지국의 DU를 중앙에 모아서 처리하고, RF장치는 서비스 지역에 분산시키는 무선 접속망. 기존의 기지국은 디지털 장치(DU)와 RF 장치를 한 곳에서 일체형으로 처리하였다. 이에 반하여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C-RAN)은 디지털 장치(DU)(또는 베이스밴드 장치(BBU: BaseBand Unit))와 RF 장치(또는 원격 무선 장비(RRH : Remote Radio Head)를 분리시키고, 이를 광케이블 또는 고속의 무선 전달 장치로 연결한 기지국 구조를 갖는다. 디지털 장치(DU)가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형태로 한 곳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셀 간의 간..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착용 무인기 (wearable drone) 손목 등에 착용하는 무인 항공기(드론). 초소형 카메라가 장착된 드론을 팡찌처럼 손목에 착용하고 있다가 버튼을 눌러 공중으로 날려 촬영, 셀프카메라 등을 할 수 있다. 2014년 인텔(Intel)이 주최하는 웨어러블 기기 경연 대회에서 착용 무인기로 닉시(Nixie)가 최초 공개되었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시각 검색 (Visual Search) 카메라로 촬영한 객체의 영상이 가지고 있는 색상, 질감, 모양 등 고유 정보를 추출하여 유사하거나 동일한 객체를 포함하는 경상을 검색하는 기술. 이용자는 검색 대상의 이름, 특징 등 구체적 정보를 몰라도 바로 영상을 촬영하여 확인할 수 있다. 시각 검색 기술로 영상 특징 기반 검색 기술, 영상 속성 기반 검색 기술, 실세계 검색 기술, 시각 언어 (visual language) 기반의 시각 상호 작용 (visual interaction) 기술, 시각 검색 응용 기술 등이 있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시각 언어 (Visual Language) 비디오, 사진, 영화, 텔레비전과 같이 시각적인 요소를 통해 의미를 전달하는 체계. 텍스트 또는 음성을 매개로 하는 자연어(natural language)는 개념적으로 의미를 전달하고, 추상적이고 관념적으로 사물을 묘사한다. 반면 시각 언어는 영상을 매개로 하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의미를 전달하고 사물을 묘사하여 언어나 국가에 자유롭다. 예를 들어, 교실 풍경을 카메라에 찍으면, 영상을 인식하여 칠판, 테이블, 의자 등과 같은 단순한 정보 뿐만 아니라 수업 내용, 테이블 크기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