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용어] 공개 소스 사용권 (Open-Source License) 동의어 : 공개 소스 라이선스, 오픈 소스 라이선스 공개(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이용자 간에 사용 방법 및 조건의 범위를 명시한 계약.(※ 출처 : 한국저작권위원회) 공개소프트웨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개발자가 규정한 사용권(라이선스)을 지켜야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에는 라이선스 위반 및 저작권 침해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처벌을 받게 된다. 공개 소스 사용권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수정, 배포를 보장하고 있다. 공개 소스 사용권은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 : Open Source Initiative)의 공개 소스 정의(OSD : Open Source Definition)에 따라 인증/관리된다. 또한 이 사용권은 수정된 결과물에 대해 공개 의무가 없는 방임적(Permissive)..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소프트웨어 사용권 (Software License) 동의어 :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소프트웨어 사용에 대한 권리. 소프트웨어의 저작권자가 사용을 허가하는 조건이다. 그리고 이 때 저작권자는 계약의 형태로 그 사용을 허락하면서 사용의 범위와 방법을 지정하여 주게 되고, 사용자가 이 범위를 넘어서 사용하면 저작권 침해가 된다. 소프트웨어 사용권(라이선스)은 사용 기간, 사용 기준, 제공 형태, 공개 여부 등에 따라 여러 라이선스가 있다. 사용 기간에 따라 영구/기간/임시 라이선스가 있으며, 사용 기준에 따른 라이선스로는 사용자 단위 라이선스, 사이트 라이선스, CPU라이선스 등이 있다. 그리고 패키지, 번들, 볼륨 등 제공형태에 따른 라이선스와 소스코드의 배포 유무에 따라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사유(독점) 소프트웨어 등이 있다. (※관련 출처 : 한국소프트웨..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적응적 동기 (Adaptive Sync) Adaptive Synchronization : 어댑티브 싱크 모니터의 화면 재생률을 고정하지 않고 그래픽스 카드(graphics card)의 프레임 전송에 맞춰 자동으로 변경시키는 기능. 적응적 동기(Adaptive Sync) 기능은 모니터의 화면 찢김(screen tearing) 현상을 줄기이 위한 것으로, 모니터의 재생률과 상관없이 그래픽스 카드와 동기를 맞춘다. 적응적 동기(Adaptive-Sync) 기능은 에이엠디(AMD:Advanced Micro Devices) 사에서 개발된 프리싱크(FreeSync) 기술이며, 2014년 비디오 전자 공학 협회(베사 : VESA :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의 'DisplayPort 1.2a' 표준 기술로 채택되..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수직 동기 (VSync) Vertical Synchronization : 브이싱크 그래픽스 카드(graphics card)의 영상 프레임을 모니터의 화면 재생률에 맞춰 전송하는 기능. 예를 들어, 대부분의 모니터가 초당 60 프레임을 표시하는데 (재생률 60Hz), 그래픽스 카드가 초당 100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더라도, 수직 동기(VSync) 기능을 켜면 항상 60 프레임으로 고정된다. 수직 동기(VSync) 기능은 비디오 재생 시, 화면 찢김(Screen Tear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화질의 그래픽스 게임에서 지원된다. 수직 동기(VSync)는 텔레비전에서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하나의 필드를 주사하는 시작점을 일치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hronizing signal)의 이름에서..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스크린 테어링 (Screen Tearing) 동의어 : 화면 찢김 모니터 화면이 찢어지듯 갈라지는 현상.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초당 60 프레임의 화면 재생률(refresh rate)를 갖는데, 그래픽스 카드의 그래픽스 처리 장치(GPU)가 모니터 재생률에 맞춰 프레임을 전송하지 못해 발생되는 현상이다. 화면 찢김 현상은 주로 고화질의 게임에서 발생된다. 화면 찢김 현상을 줄이기 위해 그래픽스 카드의 표시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수직 동기(V-Sync: vertical synchronization) 기능 등이 사용된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