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용어] 차이 부호화 (Differential Coding) 동의어 : 차분 부호화 디지털 신호 전송에서 현재 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해 현재 신호와 이전에 보낸 신호들 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그 차이값을 부호화하는 방식. 대표적인 차이 부호화 방식으로, 차분 펄스 부호 변조 (DPCM :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델타 변조 (DM : Delta Modulation) 방식 등이 있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건당 요금제 주문형 비디오 (TVoD) 콘텐츠 1건당 이용 요금을 지불하는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구글플레이(Google Play), 아이튠즈(iTunes)에서 영화 1건당 구매해서 이용하는 서비스가 TVoD에 해당한다.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로, 건당 요금제의 TVoD 서비스 외 월 정액제로 서비스하는 가입형 주문형 비디오(SVoD : Subscription VoD) 서비스가 있다. SVoD서비스로 아마존(Amazon), 넷플릭스(NetFlix) 등이 있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고프레임률 (High Frame Rate, HFR) 영화 또는 텔레비전 영상 등에서 화질 향상을 위해 초당 프레임 수를 증가시키는 기술. 영상 신호를 획득, 전송 또는 재생할 때 초당 프레임 수(fps)가 일반적인 프레임 수 보다 2배 또는 그 이상 높은 경우를 고프레임률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영화는 초당 24프레임, 고선명 텔레비전(HDTV)은 30 프레임, 초고선명 텔레비전(UHDTV)은 60프레임을 제공한다. 그러나 고화질을 위해서 풀 HDTV(full HDTV)는 60프레임, UHDTV는 120프레임의 고프레임률을 목표로 한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s@tta.or.kr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초고선명 텔레비전 (UHDTV) Ultra High-Definition TeleVision, UHDTV, UltraHD, UHD 기존 풀 HDTV(Full HDTV)에 비해 고화질 해상도의 비디오와 다채널 및 실감형 오디오를 제공하여 시청자에게 현장감과 사실감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기존 풀 HDTV(1920x1080) 보다 4배의 해상도 (가로x세로 3840x2160)를 제공하는 4K UHDTV와 16배의 해상도(7680x4320)를 제공하는 8K UHDTV가 있다. 오디오는 10.2 이상의 다채널 뿐만 아니라 객체 기반 오디오, HOA(Higher Order Ambisonics, 고차원 앰비소닉) 오디오가 사용되어 수펑, 수직의 서라운드 효과로 실제 현장과 같은 음향을 느낄 수 있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 더보기
[정보통신용어] 공용 사용권 (GNU) GNU General Public License : GNU GPL 동의어 : 공용 라이선스,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프리 소프트웨어 재단(FSF)에서 만든 지엔유(GNU) 소프트웨어를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만든 카피레프트(copyleft) 라이선스. 공용 사용권(GPL)은 FSF의 리차드 스톨만(Richard Stallman)이 GNU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기 위해 만들었다. GPL이 적용된 소프트웨어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수정하여 재배포할 수 있다. 단, 사용 또는 수정하여 재배포할 때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도록 GPL 조건이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http://terms.tta.or.kr term..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