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 서버 소켓 ② Binary Data 보내기 텍스트 대신 바이너리 데이터를 보내는 방법은 Writer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전송하는 것 대신에 OutputStream을 사용하여 바이트 배열을 전송하면 된다. 아래의 예제는 RFC 868에 기술된 타임 프로토콜을 따르는 반복 시간 서버이다. 클라이언트가 연결되면, 서버는 1900년 1월 1일 자정 이후의 시간을 초로 표현한 4바이트, 빅엔디안, 부호 없는 정수 값을 보낸다. 또다시, 현재 시간은 Date 객체를 생성하여 구한다. 그러나 자바의 Date 클래스는 1970년 1월 1일 자정 이후의 시간을 밀리초 단위로 세기 때문에 변환이 필요하다. package network; import java.io.*;import java.net.*;import java.util.Date; public class T.. 더보기
[JAVA] 서버 소켓 사용하기 ① 위는 time-a.nist.gov에 연결하여 시간을 받아 온 것이다. 나만의 daytime 서버를 만들어보자. 우선 포트 13번에 대기하는 서버 소켓을 만든다. ServerSocket server = new ServerSocket(13); 다음, 연결을 수용한다. Socket connection = server.accept(); accept()가 호출되면 프로그램은 여기서 실행을 멈추고 클라이언트 포크가 13번으로 연결할 때까지 무한 대기 한다. 클라이언트가 연결되면 accept() 메소드는 Socket 객체를 반환한다. 반환된 연결은 java.net.Socket 객체 형태로 반환되며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한 것과 같다. daytime 프로토콜은 대화할 서버가 필요하므로 소켓에서 OutputStream 을 .. 더보기
일본어의 존경표현 겸양표현 尊敬(そんけい)と謙譲(けんじょう)の敬語動詞(けいごどうし) 사전형 존경의 경어 동사 겸양의 경어 동사 いる 있다 いらっしゃる・おいでになる おる 行(い)く 가다 いらっしゃる・おいでになる 参(まい)る・上(あ)がる・伺(うかが)う 来(く)る 오다 いらっしゃる・おいでになる お越(こ)しになる・お見(み)えになる 参(まい)る・上(あ)がる 言(い)う 말하다 おっしゃる 申(もう)す・申(もう)し上(あ)げる する 하다 なさる 致(いた)す 訪(たず)ねる・訪問(ほうもん)する 방문하다 お訪(たず)ねになる 伺(うかが)う 聞(き)く 듣다/묻다 お聞(き)きになる・お耳(みみ)になさる 伺(うかが)う・拝聴(はいちょう)する 会(あ)う 만나다 お会(あ)いになる お目(め)にかかる 食(た)べる 飲(の)む 먹다/마시다 召(め)し上(あ)がる いただく も.. 더보기
[문장력] 쓰고자 하는 내용의 '파츠'를 모아라. 쓰고자 하는 화제를 항목별로 적는다. 쓰고자 하는 내용을 미리미리파츠로 준비해두면 글쓰기가 쉬워진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이제부터 쓰고자 하는 문장에 필요한 화제를항목별로 적는 작업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순서대로 쓰려고 한다던지,정리된 상태를 만들려고 해서는 안된다. 우선은 가지고 있는 화제를단지 리스트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을 모아서 '토픽'으로 만든다. 그 다음 '육하원칙'에 따라 정리한다. 언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 왜에 의거하여 사실을 정리한다. 파츠를 모을 때 빠진 것이 없는지를체크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다. 재료를 가져온다, 즉 '취재' 여태까지 소개했던 글스기를 위한 파츠를 준비하는 작업을'취재'라고 부른다. 취재라고해서취재원에게 달려가서 마이크를 들이대거나하는.. 더보기
[문장력] 고민하지 않고 글을 쓰려면 '프라모델'을 준비하라. 이 책에서는 '주안'과 '골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로 '건담'을 만드는 방법을 들었다. 통나무와 끌을 주면서'이걸로 건담을 만들어보세요'라는 말을 듣는다면 어떻겠는가? 아마도 방법을 강구하는 데에만모든 시간을 다 써버리고 말 것이다. 하지만 프라모델이라면 어떨까? 누구라도 손쉽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프라모델은파츠, 취급설명서, 완성도이 3개가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즉, 프라모델이라는패키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프라모델처럼 작문하기 어째서 프라모델은 간단하고, 헷갈리지 않는 것일까? 그 이유는 미리 객체화 되어있는 파츠가 준비되어 있고완성도(完成図)를 통해 완성된 이지미를 확인 한 후조립 설명서의 지시대로 조립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작문에 적용시켜 본다면글을 쓰기 전에 '.. 더보기